본문 바로가기
건축계획 및 정보

건설 : 초보자를 위한 설계도면 보는 법 – 1

by Luvjune 2025. 3. 28.
728x90
반응형
SMALL

안녕하세요, 오늘은 설계도면 보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건축주나 일반인들은 설계도면을 볼 일이 많지 않지만, 집을 짓거나 구입할 때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.

 

1. 설계도면과 설계도서란?

설계도면은 건물이 완성되었을 때의 모습을 자세하게 표현한 그림입니다.

설계도서는 설계도면뿐만 아니라 계산서, 시방서, 수량산출서, 내역서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서류를 의미합니다.

설계도면의 종류

  • 건축설계 도면 – 건물의 외형과 구조를 보여줌
  • 구조설계 도면 – 기둥, 보, 슬래브 등 건물의 골격을 표현
  • 기계설계 도면 – 급수, 배수, 냉난방 시스템 등을 포함
  • 전기설계 도면 – 전력, 조명, 통신 관련 요소 포함
  • 소방설계 도면 – 스프링클러, 화재 감지기 등 안전 시스템 포함
  • 토목설계 도면 – 지반공사 및 배수시설 등 포함

2. 건축설계 도면의 주요 구성 요소

건축설계 도면에서 가장 중요한 몇 가지 요소를 살펴보겠습니다.

① 개요도(계획도)

- 건물의 기본 개요를 간략하게 정리한 도면

- 법적 내용, 건물 규모, 용도 등이 포함됨

② 평면도

- 건물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그린 도면

- 각 층의 방 배치, 벽, 창문, 문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음

③ 단면도

- 건물을 세로로 잘라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

- 층고, 천장 높이, 계단 구조 등을 확인 가능

④ 입면도

- 건물의 정면, 측면, 후면 등의 외관을 표현한 도면

- 창문 배치, 외장재, 디자인 등을 확인 가능

⑤ 창호도

- 건물의 창문과 문을 따로 정리한 도면

- 창호의 크기, 위치, 재질 등을 표시

⑥ 상세도

-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상세히 표현한 도면

- 건축 시공 시 정확한 작업을 위한 필수 자료

3. 설계도면을 읽는 방법

설계도면은 일반인이 보기 어렵다고 생각하지만, 몇 가지 기본적인 규칙만 알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

1. 스케일(축척) 확인

- 도면의 실제 크기를 축소하여 표현하기 때문에 스케일을 확인해야 함

- 예: 1:100 = 실제 크기의 100분의 1

2. 기호 및 약어 파악

- 도면에는 다양한 기호와 약어가 사용됨

- 예: W(창), D(문), CL(천장), FL(바닥 높이) 등

3. 도면 간의 연관성 이해

- 평면도, 단면도, 입면도를 함께 보면서 건물의 전체적인 형태를 파악해야 함

4. 색상 및 선의 종류 확인

- 실선, 점선, 파선 등은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짐

- 실선: 벽체 / 점선: 천장 내부 구조 / 파선: 기존 구조 등

4. 건축주가 꼭 알아야 할 설계도면

건축주는 모든 설계도면을 다 볼 필요는 없으며, 건축설계 도면만 제대로 이해하면 됩니다.

  • 평면도: 공간 배치를 이해하는 데 필수
  • 단면도: 층고와 내부 구조 확인
  • 입면도: 건물의 외관을 확인

구조, 기계, 전기, 소방 도면은 전문가(건축가, 시공사)가 주로 확인하는 부분이므로, 기본적인 개념만 알고 있어도 충분합니다.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LIST

📋 간단한 설문에 참여해 주세요!

3분만 투자해 주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😊

👉 설문하러 가기